[javascript] ES6 let의 블록스코프, 렉시컬환경 for문으로 알아보자!
·
과거의 이력/javascript
ES6 등장 이전에 변수를 선언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var 키워드를 사용하는것 이였다. 하지만 var의 큰 단점때문에 현재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대신에 let과 const를 쓴다. 해당 내용은 공부한 내용을 자세하게 적어볼것이므로, 오늘은 이후에 블록스코프를 가지는 let을 for문에서 사용해보는 예제를 기록 할 것이다. 문제 let funcArr = []; for(let i = 0; i console.log(c) ); } funcArr.forEach( fn => fn() ) 해당 코드는 for문 안에 c라는 변수가 함수레벨 스코프를 가지는 var로 선언이 되어있기 때문에 최종 출력값은 > 8 8 8 8 8 이 된..
[javascript] error: Cannot read property '_wrapper' of undefined. (Vue.js 에러)
·
과거의 이력/javascript
Vue로 개발하는 과정에서 중간에 빌드 후 테스트를 하면 꼭 한번씩 발생하는 기본적인 에러이다. 오류 발생 시나리오 화면단에 새로운 클릭이벤트 기능을 추가하는 과정에서 빌드 하였을때 화면이 로딩되지 않음. 해결 template단에서 @click을 통해 함수를 호출하였으나 script 단에서 해당 함수를 정의하지 않았기 때문에 발생한 오류이다. 콘솔로그를 반환하는 빈 함수를 정의하여 해결하면 된다. 예시 @click="changeData" changeData () { console.log('temp function!') } - 참고링크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55552506/how-to-fix-cannot-read-property-wrapper-of-undefine..
[javascript] html2canvas로 영역 캡쳐하기 (scroll 영역부분이 캡쳐가 안된다면?)
·
과거의 이력/javascript
개념 화면의 일부 영역을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여 사용해야할 필요가 있어서 자바스크립트 브라우저 화면 캡쳐 라이브러리인 html2canvas 를 사용하기로 했다. * 공식사이트 https://html2canvas.hertzen.com/ 나는 버튼 클릭이벤트가 발생하면 특정 영역을 이미지로 따와야했기 때문에 해당 함수 호출부분에 아래와같은 코드를 추가하였다. html2canvas(textArea, { }).then(canvas => { const textToImg = canvas.toDataURL() }) 나는 이미지를 서버에 저장할필요가 없이 변환된 데이터값만 필요했기때문에 textToImg 변수로 담아 사용하였다. 만약 서버에 이미지를 다운받아야 한다면, 아래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 html2canv..
[javascript] Array.forEach 자주하는 실수(some, every 사용하기)
·
과거의 이력/javascript
자주하는 실수 오늘 설명할 forEach, some, every는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지 배열 내부의 원소를 순회하면서 검사한다. some은 특정 조건이 만족할 경우 순회가 중단되고 every는 특정 조건을 만족하지 않을 경우 순회가 중단된다. 반면에 forEach는 순회가 중단되지 않는다. 즉! break를 지원하지 않는다는것! 설명 해시 알고리즘 문제를 풀면서 배열에 forEach문을 이용해 코딩을 했다. 중도에 조건을 만족하면 ealry return 하도록 코드를 짰는데 조건을 만족해도 배열 끝까지 명령문이 계속 수행이 되더라,, 흐음. 그래서 찾아보니 array.forEach()는 break를 지원하지 않는데 중도에 return을 시키려니 원하는 결과가 안나왔던 것이다. 예를들어 아래와같은 코드를..
[통계] 정의역이란, 공역이란, 치역이란? 쉽게 알아보기!
·
통계/통계지식
통계 기본 개념중 치역, 공역, 정의역을 간단하고 재미있는 예시로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함수의 기본 개념 및 예시도 함께 설명되니 끝까지 차근차근 읽어보면 좋을것이다! 기본 개념 우선 회사에서 야근을 하는 상황을 상상해보자. 야근하는 사람들은 투표로 야식을 정해야하는 상황이다. 이때, 함수는 사람들이 야근을 하는 사무실 현장이다. 정의역은 야근을 하는 회사원이다. 공역은 야식메뉴 목록의 음식들이다. 치역은 야식 메뉴로 회사원이 선택한 음식이다. 개념 정의 더보기v 더보기 정의역(定義域 domain(of definition)) 집합 X에서 집합 Y로의 사상(寫像:함수) f에 대하여 X를 f의 정의역이라고 한다. 치역(値域 range) 함수가 취하는 값 전체의 집합을 일컫는다. 사상(함수) f:X → Y가..
[통계] 상관계수란? 결정계수란? 또 수정결정계수란?
·
통계/통계지식
회귀분석과 상관분석의 목적 회귀분석은 독립변수를을 가지고 종속변수를 설명하는게 목적이고, 상관분석은 두 변수의 직선관계 정도를 보는것이다. 때문에 상관분석에 경우, 둘 변수 중 어떤 변수가 종속변수(설명 당하는)이고 독립변수(설명하는)인지는 별로 관심의 대상이 아니다. 회귀분석이란? v 더보기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은 통계학에서 관찰된 연속형 변수들에 대해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사이의 인과관계에 따른 수학적 모델인 선형적 관계식을 구하여 어떤 독립변수가 주어졌을 때 이에 따른 종속변수를 예측한다. 또한 이 수학적 모델이 얼마나 잘 설명하고 있는지를 판별하기 위한 적합도를 측정하는 분석 방법이다. 1개의 종속변수와 1개의 독립변수 사이의 관계를 분석할 경우를 단순회귀분석(Simple ..
[통계] p-value란 무엇인가? 짧고 굵은 기본개념!
·
통계/통계지식
p value란, 귀무가설이 맞다는 전제하에 통계값이 관측값 이상일 확률을 말한다. 가설검증이란 표본데이터의 평균이 전체 데이터의 평균을 잘 반영한다는 가정 하에 데이터의 평균을 구하는것이다. 아무리 무작위 추출을 잘 한다 하더라고 추출 평균은 전체 평균값과 멀어질 수 있다. 따라서 얼마나 다른가 를 알기위한 방법이 필요하며, 이 때문에 p value 가 필요하다. 예를들어 '모분포의 평균이 100이다' 라는 귀무가설을 세웠을때, 내가 구한 관측값인 95라는 값. 또는 그보다 큰 값이 나올 확률이 p value 이다. 만약 이 값이 매우 작다면 우리는 귀무가설을 기각시키고 대립가설을 채택할 수 있게 된다. 아주 작은 확률의 사건이 발생했다기 보다는 귀무가설이 틀렸다고 보기 때문이다. 정리하자면 p val..
[통계] 중심극한정리
·
통계
P-value에 대해 공부하다가, '모분포의 평균과 분산값이 주어졌을때 거기서 n 개를 sampling 했을 때 그 n 개의 평균이 얼마나 잘 나올 수 있는 값인지는 중심극한정리와 표준정규분포의 성질을 이용하여 정확히 계산가능하다' 라는 부분이 나와 중심극한정리를 짚고 넘어가기위해 리서치를 해봤다. 실세계에서 발생하는 자연 현상이나 사회 현상 중 많은 것들이 정규분포로 모형화 가능하다. 즉, 중심극한정리는 여러 확률변수의 합이 정규분포와 비슷한 분포를 이루는 현상을 말한다. 중심극한정리가 강력한 이유는 모집단의 형태가 어떻든지 간에 상관없이 표본 평균의 분포는 정규분포를 따르게 된다는 점에 있다. 출처 : 공돌이의 수학정리노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