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영체제] IPC란? (프로세스간 데이터 공유)
·
과거의 이력/CS
📝 IPC란? (Inter-process Communication) 프로세스 간에 통신하여 상호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기법이다. 프로세스는 서로 직접적으로 소통할 수 없다. 그 이유는 프로세스들이 서로 공간을 쉽게 접근하면 프로세스의 데이터나 코드가 다른 프로세스에 의해 쉽게 바뀔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막기 위해 프로세스는 통신을 직접적으로 할 수가 없고, 서로의 공간을 접근할 수가 없어요. 그래도 프로세스간 커뮤니케이션은 필요하기 때문에 사용되는것이 IPC 기법이다. 📝 프로세스간 통신이 필요한 이유 성능을 높이기 위해 통신이 필요하다. 어떤 로직을 하나의 프로세스로만 수행하는 대신, 여러 프로세스가 수행해서 보다 빠른 성능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이를 위해선 당연히 그 로직을 수행하는 과..
[컴퓨터구조] RAM이란 무엇인가? DRAM과 SRAM의 차이 (캐시메모리)
·
과거의 이력/CS
📝램(RAM)이란? 컴퓨터에서 어떤 작업을 실행할때 모든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할 공간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작업은 하드디스크(HDD)에 저장된다. 하지만 CPU의 속도를 HDD가 따라오기엔 너무 느리기에 RAM이라는 장치가 탄생했다. 램이란 CPU와 하드디스크 사이에 또하나의 특별한 기억장치라고 생각하면 된다. 📝램 특징 램이란 전원이 끊어지면 휘발유처럼 기록된 정보가 날아가기 때문에 휘발성 메모리라고 한다. RAM은 컴퓨터의 주기억장치로 사용된다. 대표적인 RAM 종류에는 DRAM(dynamic)과 SRAM(static)이 있다. 📌DRAM DRAM은 축전기로 작동하는 방식이다. 축전기란 시간이 지나면서 방전된다는 것이다. 즉 시간의 흐름에 따라 메모리가 변화한다는 뜻이다. 때문에 동..
[CS] 공유메모리란 무엇일까? shared memory?
·
과거의 이력/CS
📝 공유메모리란? (shared memory) - 프로세스 간에 공통으로 사용하는 공유 메모리 공간으로 프로세스 간 협력을 한다. - IPC(Inter-Process Communication)의 일종으로 프로세스간 통신시 사용한다. 운영체제에서 가상메모리공간은 독립적이다. 모든 프로세스는 자신의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독립적인 메모리 공간을 가지게 된다. 예를들어 프로세스 A의 작업내용이 프로세스 B에 영향이 가면 안되기 때문이다. 프로세스를 침범해버릴 경우 운영체제는 프로세스를 논리규칙 위반에 따라 종료시킨다. 여러개의 프로세스가 특정 메모리 공간을 동시에 접근해야할 필요가 있을때 공유 메모리라는 IPC 기법을 사용한다. 공유메모리는 이러한 작업을 위한 효울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 특징 1. 하나의 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