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OSI 7계층 vs TCP IP 4계층

2022. 8. 29. 16:14·과거의 이력/CS
목차
  1. 📝 OSI 7계층 vs TCP/IP 4계층 
  2. 📝 OSI 7계층 설명
  3. 📝 TCP/IP 4계층 설명

 

📝 OSI 7계층 vs TCP/IP 4계층 

OSI 7계층 TCP/IP 4계층
실제로 사용되지 않는 개념적 모델 실제로 사용되는 프로토콜
데이터 표준을 정리한 개념 모델 클라이언트 - 서버 모델
프로토콜이 아닌 시스템 아키텍처를 이해하는 참조모델 네트워크 표준 프로토콜

 

 

 

📝 OSI 7계층 설명

📌 물리계층

- 전송 단위는 비트(Bit)이다

- 전기적, 기계적 특성을 이용해 데이터를 전송

- 데이터 전달 역할만 한다.

- 케이블, 리피터, 허브 등

 

📌데이터 링크계층

- 전송 단위는 프레임(Frame)이며, 주소는 Mac을 사용한다.

- 물리계층의 있는 그대로의 전송설비를 신뢰할 수 있는 링크로 변환한다. 

- 물리적인 연결을 통해 인접한 두 장치간 신뢰성 있는 정보 전송을 담당함

- 통신 오류를 찾고 재전송을 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 맥주소로 통신한다.

- 브리지, 스위치

 

📌네트워크 계층

- 전송 단위는 패킷(Packet)이며 IP 주소를 사용한다.

- 경로와 주소를 정하고 그에따라 패킷을 전달해주는 라우팅 역할을 함

- 라우터, L3 스위치

 

📌 전송계층

- 전송 단위는 세그먼트(Segment) 이며 사용하는 주소는 포트이다. (대표 프로토콜로 TCP와 UDP가 있음)

- 전체 메시지를 발신지대 목적지간 제어와 에러를 관리한다.

- TCP 프로토콜 이용

 

📌 세션계층

- 전송단위는 메시지(Message)이다.

- 통신 장치간 대화를 유지하고 동기화한다.

 

📌 표현계층

- 전송단위는 메시지(Message)이다.

- 데이터를 어떻게 표현할지 정하는 역할을 한다.

- 데이터 암호화, 복호와, 데이터 압축 등

 

📌 응용계층

- 전송단위는 메시지(Message)이다.

- 사용자와 밀접한 계층으로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며, 사용자가 네트워크에 접속하는것을 가능하게 한다.

- 응용 프로세스간 정보 교환을 담당함

- 메일, 인터넷 등

 

 

 

 

 

📝 TCP/IP 4계층 설명

📌 네트워크계층 (OSI에서 물리, 데이터링크 계층)

- 데이터를 전기회로로 변환한뒤, 물리적 주소인 MAC 주소를 이용해 기기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 프로토콜 : 이더넷, 와이파이

 

📌 인터넷계층 (OSI에서 네트워크 계층)

패킷을 목적지까지 라우팅하는 계층

- 프로토콜 : IP, ARP

 

📌 전송계층 (OSI에서 전송 계층)

- 데이터 전송을 보장하는 계층. 신뢰성을 보장하는 계층이다.

- 수신시 역캡슐화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포트번호를 사용해 데이터를 정확한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한다.

- 프로토콜 : TCP, UDP

 

📌 응용계층 (OSI에서 세션, 표현, 응용 계층)

-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데이터 형식을 작성한다.

- 프로토콜 : HTTP, HTTPS, FTP, SMTP, DNS, Telnet 등

 

 

 

'과거의 이력 > 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영체제] IPC란? (프로세스간 데이터 공유)  (0) 2022.08.29
[windows] Telnet 텔넷 사용하는법(텔넷 활성화하기)  (0) 2022.08.28
[CS] SMTP란 무엇일까? (메일 전송 규약..?)  (0) 2022.05.19
[CS] 웹소켓이란? (브라우저와 브라우저를 연결하는 RTC?)  (0) 2022.04.29
[CS] HTTP란?  (0) 2022.04.19
  1. 📝 OSI 7계층 vs TCP/IP 4계층 
  2. 📝 OSI 7계층 설명
  3. 📝 TCP/IP 4계층 설명
'과거의 이력/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운영체제] IPC란? (프로세스간 데이터 공유)
  • [windows] Telnet 텔넷 사용하는법(텔넷 활성화하기)
  • [CS] SMTP란 무엇일까? (메일 전송 규약..?)
  • [CS] 웹소켓이란? (브라우저와 브라우저를 연결하는 RTC?)
정많이 정만이
정많이 정만이
jeongmany
  • 정많이 정만이
    정많이 정만이
    정많이 정만이
  •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80)
      • 과거의 이력 (71)
        • CS (12)
        • 프론트엔드 (4)
        • javascript (21)
        • Vue.js (7)
        • bootstrap (1)
        • [그리드] ag-grid (3)
        • [그리드] vue-grid-layout (1)
        • HTML_CSS (5)
        • NPM (1)
        • [차트]highcharts (0)
        • JAVA (9)
        • 백엔드 (1)
        • 기본개념 (손필기) (5)
        • 프로그래머스 (1)
      • 알고리즘 (6)
      • 통계 (9)
        • 통계지식 (8)
  •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 링크

  • 공지사항

  • 인기 글

  • 태그

    ubuntu
    js
    코딩테스트
    CSS
    bootstrap
    vue.config.js
    vue
    VirtualBox
    cs
    vuejs
    JavaScript
    버추얼박스
    ag-grid
    java
    aggrid
    js map
    자바스크립트
    공유메모리
    반복문
    ES6
    selectbox
    Webpack
    우분투
    vue.js
    객체
    ubuntu설치
    webpack.config.js
    개발자
    HTML
    알고리즘
  • 최근 댓글

  • 최근 글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3
정많이 정만이
[네트워크] OSI 7계층 vs TCP IP 4계층

개인정보

  • 티스토리 홈
  • 포럼
  • 로그인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